뉴스

2023년 장마 시작 기간 및 장마기간 [기상청]

잡다한 지식 잡지 2023. 6. 26. 22:57
반응형

2023년 장마 시작 기간 및 장마기간 [기상청]

장마-썸네일

날씨

내일 오전까지 전국에 비가 온다고 예보가 되있고, 내일 오후부터 모레 사이에는 전국에 가끔 비가 오는 곳이 있겠습니다.

 

어제부터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여름 장마가 시작됐습니다. 오늘은 전국에 많은 비가 예보된 만큼 여러분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근처 강이나 계곡, 하천이 있으신 분들은 특히나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지점별 누적 강수량은 제주 한라산 삼각봉 226㎜, 서귀포 146.1㎜에 이르는 만큼

기상청은 이번 장마는 평소와는 다르다고 보고 있습니다.

 

아직 항공편 결항은 없는 상황이지만 평소와는 다른 장마인 만큼 이 점 유의하고 비행기 예약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장마 사진

장마

장마는 한반도에서 주로 여름철에 여러 날 비가 내리는 날씨가 지속되는 기상 현상의 일종으로

그 원인인 정체전선(장마전선), 우기(雨期)를 가리키거나 또는 그 시기의 비 자체를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임우(霖雨)', '구우(久雨)', '매우(梅雨)', '매림(梅霖)'이라고도 불립니다.

 

장마 기간은 평균적으로 30~35일이나, 이 기간 동안 항상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비가 내리는 날은 15~20일 정도로, 이 중에서도 정체전선에 의해 내리는 경우는 12일에서 16일에 불과합니다. 다만 장마 기간은 연도별로 편차가 매우 크며, 이상 기후로 인해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장마가 생기는 과정

북쪽 러시아 해안 지역에 위치한 차갑고 습한 오호츠크해 기단과 오가사와라 제도 부근의 덥고 습한 북태평양 기단 사이로 뚜렷한 정체전선이 생기면서 장마가 된다.

 

다만 한반도의 경우 오호츠크해 기단뿐만 아니라 차갑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까지 일정 부분 장마에 기여하는 특징을 보인다.

 

장마가 형성되는 또 다른 원인으로는 베링해와 티베트 고원이 있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베링해의 얼음, 티베트 고원의 쌓인 눈의 양에 따라 고기압의 형성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한반도 북쪽과 남쪽에 있는 각각의 고기압이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장마철이 시작되는 날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런 점으로 인해 해외에서는 장마를 동아시아 계절풍 기후의 일종으로 본다.

 

 

 

 

 

반응형